최근 SNS를 보면 자신의 성공을 과시하는 영상이 많이 등장한다.
자신은 얼마를 벌었네. 자신은 이렇게 성공했네, 누구나 할 수 있다 하며 자신의 성공을 여러 사람들에게 전파하려는 내용이 주류이다.
상식적으로 돈을 많이 벌었다고 주변에 알릴 필요가 없을텐데 왜 그럴까?
그들이 말하는대로 자신의 수익 방법을 공개하고 다른 이들의 성공을 원하는 순수한 마음일까?
과거 주식 투자 리딩방이나 주식전문가로 투자를 알려주던 사람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다른 사람들을 이용하던 것이 들통난 사건이 종종 있었다.
https://m.yonhapnewstv.co.kr/news/MYH20230303004700641
′청담동 주식부자′ 이희진, 코인 사기혐의 수사
'청담동 주식부자' 이희진, 코인 사기혐의 수사 '청담동 주식부자'로 불리다 불법 주식거래로 징역 3년 6개월 실형을 선고받고 만기 출소한 이희진 씨가 가상화폐 관련 사기 혐의로
m.yonhapnewstv.co.kr
주식이 상승할것이면 자신이 사면되는데 왜 그걸 다른 사람에게 알려줄까? 하는 의심을 해본 적이 있다.
지금은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의 성공을 과시하는 사람들이 많이 등장한다.
경매, 부동산, 온라인 쇼핑, 외환거래 등등다양한 분야에서 자신의 성공을 과시하며 통장내역을 공개하기도 한다.
그들은 왜 그럴까?
사람들이 SNS에서 돈을 번 것을 과시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는 개인의 성격, 동기,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주요 이유로 작용한다:
1. 인정 욕구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을 인정받고 싶어합니다. 돈을 번 성과를 과시함으로써 자신의 능력이나 성공을 주변 사람들에게 알리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으려는 욕구를 충족하려고 할 수 있다.
2. 사회적 지위의 과시
돈은 종종 사회적 성공과 연결되기 때문에, 이를 과시함으로써 자신이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가졌음을 보여주려는 의도가 있을 수 있다. 이는 특히 물질적 성공이 중시되는 문화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3. 동기 부여 또는 교육
일부 사람들은 자신의 성공을 공유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거나 동기를 부여하려고 한다. "나도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어 하는 경우이다.
4. 브랜드 이미지 형성
사업이나 개인 브랜드를 운영하는 사람들은 돈을 번 것을 강조함으로써 자신의 성공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신뢰를 쌓으려 한다. 특히 코칭, 투자, 또는 자기 계발 산업에서 이러한 모습이 자주 나타나고 있다.
5. 심리적 만족
자신의 성과를 공개하는 것은 자부심을 느끼고 자기 만족을 얻는 방법일 수 있다. 특히 과거에 어려움을 겪었던 사람이 지금의 성공을 자랑하고 싶은 경우가 이에 해당할 것이다.
6. 경쟁 심리
동료나 경쟁자들과 비교하여 자신이 더 잘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심리도 작용할 수 있다. 이는 성공을 통해 우월감을 느끼고 싶은 욕망과 연결될 수 있다.
7. 가치관의 변화
현대 사회에서 SNS는 자기표현의 장이 되었고, 개인의 성공이나 부를 드러내는 것이 과거보다 덜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는 돈과 성공을 삶의 중요한 가치로 여기는 사람들이 늘어난 영향도 있다.
하지만...
과시하는 것에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과도한 과시는 질투를 유발하거나, 가짜 성공으로 오해받을 수 있으며, 심지어 자신이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의 소비를 하게 만드는 악순환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결국, 과시는 사람의 심리적, 사회적 욕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https://press.cnu.ac.kr/news/articleView.html?idxno=20504
각광받던 성공 콘텐츠, 이제는 피로해진 대중들 - 충대신문
“성공하는 사람들의 습관 3가지”, “이것만 따라 하면 월 1,000만 원 벌 수 있습니다” 최근까지 한국에서 대중의 알고리즘을 장악한 콘텐츠 주제는 단연 성공이다.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등 각
press.cnu.ac.kr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는 이를 이용하여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려 한다는 것이다.
지금 올라오는 내용들을 보면 다음과 같은 유형 중의 하나이다.
1. 흙수저를 강조한다.
자신은 아무것도 없는 어려운 환경이었으나 이를 통해 돈을 벌어 지금의 나로 성정하였다.
2. 자수성가를 강조한다.
누구의 도움도 없이 나 스스로 열심히 하여 성공을 이루었다.
3. 마인드 강조
'하려고 하면 누구든 할 수 있다' 도전하지 않는 너희들은 루저이다.
4. 고급 사치품 소개
고급차, 고급주택, 해외여행, 명품등을 자랑하며 너희도 이런 것들을 누릴 수 있어 를 강조한다.
5. 유명인과의 친분과시
유명인들과의 사진이나 파티등에 참가하는 사진 등을 통해 자신의 신분상승을 과시한다
6. 얼마 벌었다는 구체적 금액 소개
지금 한 달에 얼마를 벌고 매달 얼마가 통장에 들어오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수익률은 얼마이다 라며 구체적 금액을 이야기한다.
7. 누구나 할 수 있음 을 강조
자신도 전문적인 지식 없이 성공했음을 강조하며 누구나 자신을 따라 하면 성공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이런 유형의 콘텐츠들은 거의 사기라고 봐도 무방 할 것이다.
최근에도 공동경매를 통한 수익을 강조하던 유명 유튜브 채널의 사기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40919/130055346/1
[단독]유튜브로 유혹… 경매학원 사기 극성
50대 중반 박모 씨는 ‘아마추어는 모르는 투자 위험 요소’라는 제목의 유튜브 동영상 등을 시청한 뒤 부동산 투자에 관심이 생겨 경매학원에 등록했다. 석 달 수강료 130만 원을…
www.donga.com
주식 리딩방 문제는 예전부터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사기이다.
https://www.fnnews.com/news/202408011400020164
"언론사 기사에 유명인이라 믿었죠"... 판치는 온라인 투자 사기
월 수십퍼센트의 고수익을 보장해주겠다며 가짜 투자 사이트를 만들어 돈을 가로채는 온라인 투자 사기가 속출하면서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 이같은 사기 범죄단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유
www.fnnews.com
https://www.news1.kr/local/daejeon-chungnam/5603479
"비상장 주식 투자로 돈 번다" 투자리딩방 사기 일당 중형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www.news1.kr
요즘처럼 어려운 시기에 성공은 누구나 꿈꾸는 이상이다.
열심히 직장 다녀봐야 집하나 장만하기 힘들어지고.. 남들은 해외여행에 명품을 가지고 외제차를 몰고 다니는데 왜 난 이렇게 힘든 현실을 살고 있을까? 하는 부러움도 있고 조급함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쉽게 돈을 벌면 누구나 부자가 되고 그렇게 쉽게 돈을 벌 수 있으면 그들이 애써 영상들을 만들어 경쟁자를 만들지는 않을 것이다.
그런 허황된 영상이 우리의 삶을 더 힘들게 하는 요소가 아닐까 생각된다.
'인터넷 관련 기사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스타그램 유아 계정 갑자기 삭제 왜???? (1) | 2024.11.23 |
---|---|
연일 오르는 비트코인 어디까지 오를것인가? (28) | 2024.11.22 |
쯔양 사태로 드러난 폭로 유튜버들의 추악한 뒷모습 (8) | 2024.07.11 |
유명인 허위광고 이제 언론사까지 동원.... 페이스북의 조치 필요 (1) | 2024.07.01 |
전청조 패러디 충주시는 되고 엄지윤은 안되고? (1) | 2023.11.01 |